釈譜詳節巻九 月印釈譜巻九 薬師琉璃光如来本願功徳経
是の如く我れ聞きぬ.
부:톄 :도·녀 諸國· 敎化··샤 [諸國· 여·러 나·라히·라.] 廣嚴城·에 ·가·샤 樂音樹 아·래 :겨·샤 :굴·근 比丘 八千人·과 · 잇·더시·니 부:톄 :도·녀 諸國· 敎化··샤 [諸國· 여·러 나·라히·라.] 廣嚴城·에 ·가·샤 樂音樹 아·래 :겨·샤 :굴·근 比丘 八千人·과 · 잇·더시·니 一時,薄伽梵,諸國に遊化して廣嚴城に至り樂音樹下に住しき.大苾芻衆八千人と俱なりき.
菩薩 摩訶薩 三萬六千·과 [摩訶薩· :굴·근 菩薩·이시·다 ·논 :마리·라.] 國王·과 大臣·과 婆羅門·과 居士·와 [居·는 :살 ·씨·니 居士· :쳔 :만·히 두·고 가··며 :사· :사·미·라.] 天 龍 夜叉 人非人 等 無量 大衆·이 恭敬··야 圍繞··거·늘 [人非人· :사·과 :사 아·닌 것·과 ·논 :마리·니 八部·를 어·울·워 니르·니·라.] :위··야 說法··더시·니 菩薩 摩訶薩 三萬六千·과 國王·과 大臣·과 婆羅門·과 居士·와 [居·는 :살 ·씨·니 일·훔 난 (□)· ·즐겨 닐·어 淸淨·으·로 :제 :살 ·씨·라. · :쳔 :만·히 두·고 가·며 :사· :사·미·라.] 天 龍 夜叉 人非人 等 無量大衆·이 恭敬··야 圍繞··거·늘 [人非人· :사·과 :사 아·닌 것·과 ·논 :마리·니 八部· 어·울·워 니르니라.] 爲··야 說法··더시·니 菩薩摩訶薩は三萬六千あり,及び國王·大臣·婆羅門·居士·天·龍·藥叉·人·非人等と無量の大衆とに恭敬し圍遶せられて爲めに說法したまふ.
그· 文殊師利 世尊· :·샤· 그· 文殊師利 世尊· :·샤· 爾の時,曼殊室利法王子は佛の威神を承け,座より起つて偏へに一肩を袒ぎ,右膝を地に著け,薄伽梵に向つて曲躬合掌して言さく.
「부텻 일·훔·과 本來ㅅ ·큰 願·과 · :됴·신 功德·을 불·어 니·샤 듣· :사· 業障·이 ·스러·디·여 [障· 마· ·씨·니 煩惱ㅣ ·리·여 涅槃· 마··며 無明·이 ·리·여 菩提· 마· ·씨·라.] 「부텻 일·훔·과 本來ㅅ ·큰 願·과 · :됴·신 功德·을 불·어 니·샤 듣· :사· 業障·이 ·스·러디·게 야 [障· 마· ·씨·니 聖道·와 聖道 方便·을 마· ·씨·니 業障(□) 煩惱障·과 報障·괘·라. (業)障· 五無間業이·니 (□□) 주·기거·나 아·비 주·기거·나 阿羅漢 주·기거·나 :·을 :헐어·나 부텻 모·매 ·피 :내어·나 ·욘 業·이·라. 웃:돌·흔 恩義· 背叛·혼 젼··오 :세· 福田·을 허·론 젼··라. 煩惱障· 勤煩惱·와 利煩惱·왜·니 勤煩惱· ·조 煩惱 ·씨·오 利煩惱· 더·어 (·갸)· 煩惱ㅣ·라. 報障· 住 果報:마·다 聖道·앳 器具 아·닐 ·씨·니 果報ㅣ 구·즌 젼··라. ○煩惱障· ·내·라 ·호· 자·보미·오 所知障· 法·이·라 ·호· 자· ·씨·니 煩惱障·이 · ·려 ·미 解脫 :몯 ··야 業·을 지· 生· 受··야 다· 길·헤 輪廻·며 所知障·이 慧· ·려 慧解脫 :몯 ··야 (제) ·  (:)몯 :알·며 諸法·의 性相·  :몯 아·라 비·록 三界·예 나·고·도 · 二乘·에 거·러 成佛 :몯 · 障·이·라 ·니·라. 나·와 法·과 :두 執著· :덜·면 :두 障·이 조·차 그·츠리·라.] 「世尊よ,惟願くは是くの如きの相類の諸佛の名號と及び本の大願と殊勝の功德とを演說したまへ.諸の聞く者をして業障を銷除せしめたまへ.
像法·이 轉 時節·에 [法·이 ·처 盛·히 行··야 :사·미 번·드·기 :수· : 時節·은 正法·이·라 ·고 부텨 ·나 :겨시·던 時節·이 더 :멀·면 :사·미 :수· :몯 아·라 가··벼 ·보아· : 時節·이 像法·이·라 ··니 像· · ·씨·니 道理 잇 :사·과 즛 ·씨·라. ·이 後·는 末法·이·니 末法 時節·은 :몰·라 :거·즛:말·로 니르·니 末· ·그티·라.] 믈읫 有情·을 利樂·긔·코·져 ··노·다.」 [利樂· :됴·코 ·즐·거 ·씨·라.] 像法·이 轉 時節·에 [法·이 ·처 盛·히 行 저·긔 :사·미 能·히 現量··로 體得··야 아·로·미 正法·이·오 聖人 :업·거신 ·디 오·라면 :사미 오·직 比量··로 브·터 아·로·미 像法·이(·라.) 末法·은 ·쇽·졀 :업·시 似量·이·라 實 :업·스니·라. 量· 度量 升斗·로 物·을 量度··야 아·라 一定·호·미 ··니 {度· 기·리 견·주· 거·시·오 量· 하·며 :져구·믈 ·되· 거·시·라. 升·은 ·되·오 斗·는 ·마리·라. 量度· :혜아·릴 씨라.} 比量· 因由譬喩·로 比度· ·씨·니 머·리 ·· 보·고 ·블 잇 · 아·로·미 ··니 비·록 ·브·를 :몯 ·보아·도 :거츠·디 아·니  ·씨·라. {因由·는 브·틀 ·씨·라. 比度· 類· 가··벼 :혜아·릴 ·씨·라.} 現量· 親·히 :제 現··야 :뵈·야 推尋··야 :혜아·리·디 아·니 ··야 自然·히 一定 ·씨·라. 佛言量· 諸經·으·로 一定 ·씨·라. 似· · ·씨·라. ○現量· 現·은 顯現 ·씨·니 ·곧 分明·히 境·을 證··야 名言·을 가·지·디 아·니 ··야 :혜아·룜 :업슨 ··로 親·히 法體· 得··야 :거·츤 ·(욤) 여·흴 ·씨 일·후·미 現·이·오 量이라 (닐)·오· 量度·호·미 一定 (□□)·니 ·미 境·에 量度·야 (□□)·의 제 相 一定··야 그르(디) 아·니 · 일·후·미 量·이·라. 比量· 比· 類· 가·빌 ·씨·오 量· 量度 ·씨·니 類· 가··벼 量度··야 잇 · :알· 일·후·미 比量·이·라. 非量· ·미 境·을 緣 저·긔 境·에 錯亂··야 :거츠·리 ··야 正·히 :아·디 :몯 ··야 境·이 ·매 맛·디 :몯  ·씨 일·후·미 非量·이·라. 錯亂· ·어·즈러· ·씨·라.] 有情·· 利樂·긔·코·져 ··노·다.」 [利樂· :됴·코 ·즐·거 ·싸·라.] 像法轉時の諸の有情を利樂せんと欲するを爲つて故に」と.
世尊·이 니·샤· 「:됴·타. 文殊師利·여. :네 大悲·로 니·고·라 請··니 子細·히 드·러 이·대 ·라. 너 爲··야 닐·오리·라. 爾の時,世尊,曼殊室利童子を讚めて言く.「善き哉,善き哉,曼殊室利よ.汝大悲を以つて我れに諸佛の名號,本願,功德を說けと勸請せり.業障に纏はるゝ有情を拔き,像法轉の諸の有情を利益し安樂せしめんが爲めの故に.汝,今諦らかに聽き極めて善く思惟せよ.當に汝が爲めに說くべし」.
曼殊室利の言う.「唯然り,願くは說きたまへ.我等聞かんと樂ふ」.
부:톄 文殊師利· 니·샤· 佛,曼殊室利に告げたまはく.
「東方··로 이·셔 버·로·미 十恒河沙 等 佛土 :디·나·가 世界 이·쇼· 일·후·미 淨瑠璃·오 [淨·은 ·조 ·씨·라.] 부텻 일·후·믄 藥師瑠璃光如來 應供 正遍知 明行足 善逝 世間解 無上士 調御丈夫 天人師 佛 世尊·이시·니 東方··로 이·셔 버·로·미 十恒河沙 等 佛土 :디·나·가 世界 이·쇼· 일·후·미 淨瑠璃·오 [淨·은 ·조 ·씨라.] 부텻 일·후·믄 藥師瑠璃光如來 應供 正遍知 明行足 善逝 世間解 無上士 調御丈夫 天人師 佛 世尊·이시·니 「東方に此より去ること十殑伽沙等の佛土を過ぎて,世界有り淨琉璃と名く.佛をば藥師琉璃光如來·應·正等覺·明行圓滿·善逝·世間解·無上調御丈夫·天人師·佛·薄伽梵と號す.
[如來·로·셔 世尊·애 니·르·리 ·열 가·짓 號ㅣ시·니 부텨·옷 외·시·면 :다  :야··로 ·이 ·열 가·짓 號· :·니·라. [브·터 :옴 :업스·며 · :감 :업슬· 일·후·믈 如來·라 ·샤· 法身··로 사·기시·니·라. 第一義諦 如ㅣ·오 正覺·이 來·라 ·호· 報身··로 사·기니라. 實·다  道· ··샤 ·와 正覺 일·우실· 如來시·다 ·호· 應身··로 사·기니·라. 應·은 맛· ·씨·니 根機·조·차 서르 다·디 아·니 ··샤 時節·을 조·시·며 ·고· 조·시·며 趣·를조·차 ·나 現·실 ·씨·니 ·이 化身·이·라. ○如·는 眞性·을 니·니 眞性·을 如ㅣ·라 ·호· ·고·미 無量世界· 비·취·여 ·린 · :업·고 慧無量 劫 :이· ·차 마· · :업·서 能·히 變化·로 一切 衆生·이 외·요· :몯 · · :업수·미 眞實·로 自如·호미·라. 來·라 ·호· 眞性·이 能·히 所·조·차 ·와 現·실· 如來시·다 ·니·라. 眞如ㅣ 本來 가·며 :오·미 :업거·늘 來·라 ·호· 이·긔 應··야 現·실··니 :아뫼·나 至極 精誠·으·로 :비··면 感應·이 :겨시·고 一切 衆生 爲··야 敎化 :펴·려 ·시·면 色身· 現·샤·미 :다 來·라. ·이러·면 如如·는 眞性·의 根源 體·오 來· 眞性·의 應·시·논 用·이·라.
應·은 ·맛 ·씨·니 應供· 一切 天地 衆生· 供養 바·도·미 ·맛·실 ·씨·라. ○應·은 ·맛 ·씨·니 一切 天地 衆生· 供養 바·샤·미 ·맛·시·다 ·혼 :마리·라.
正遍知· 正·히 ·초 :아·실 ·씨·라. 明行足· · :·뎌·기 ·실 ·씨·라. ○法·이 그른 · :업수·미 正·이·오 智 :몯 · · :업수·미 遍·이·오 生死ㅅ ··메 :나·미 覺·이·라. 正遍知· ·곧 般若ㅣ·니 眞諦·오 應供· 解脫·이·니 俗諦·오 如來· ·곧 法身·이·니 中諦·라. ○三明·을 三乘·이 비·록 得·야·도 足·디 :몯·거니·와 부텨·는 :다 足··시니·라. ○萬行·이 眞實·로 · ·씨 明行足·이·라.
善·은 :됴 ·씨·오 逝· 갈 ·씨·오 解· :알 ·씨·니 善逝 世間解· 부텻 功夫·에 :됴·히 올·아 ·가·샤 世間·앳 :이· :다 :아·실 ·씨·라. 士· ·어·딘 남지·니·니 無上士· 尊··샤 더은 우·히 :업·스신 士ㅣ·라. ○善逝· :됴·히 갈 ·씨·니 種種·앳 기·픈 三摩提 無量 智慧ㅅ 가·온· ·가실 ·씨·라. 世間解· :두 가·짓 世間· :알 ·씨·니 나· 衆生·이·오 나· 非衆生·과 如實相·괘·니 世間果·와 世間因·과 出世間滅·와 出世間道· :아·실 ·씨·라. ○그· 것 잇·니· 有上師ㅣ·오 그· 것 :업·스시·니 無上師ㅣ·라.
調御·는 이·대 다·릴 ·씨·오 丈夫·는 :게·여 남지·니·니 부:톄 :겨지·블 調御··시·다 ·면 尊重·티 아·니 ··시릴· 丈夫·를 調御··시·다 ·니·라. ○調御·는 ·질 ·드릴 ·씨·오 丈夫·는 남지·니·니 부:톄 大慈 大智·로 보·라· 이·든 :말·도 ·시·며 알 고· :말·도 ·시·며 雜 :말·도 ··샤 道理· 일·티 아·니·케 ··시·니 부텨·를 女人 調御師ㅣ시·다 ·면 尊重·티 :몯 ··시릴· 丈夫·를 니르·니 一切 :다 ·들리·라. ○萬物·을 敎化·샤· :모디·디 아·니 ·시·며 ·외··로 ·나·샤 구·피·디 아·니 ·실 ·씨 調御丈夫ㅣ·라.
天人師· 하·히·며 :사· 스스·시·다 ·논 :마리·라.] ○三界·예 法·이실· 天人師ㅣ·라 ·니·라.
○佛·은 知者ㅣ·라 ·혼 :마리·니 知者· :아· :사·미·라 ·혼 ·디·라. 過去 未來 現在·옛 衆生·과 衆生 아·닌 數·와 有常·과 無常 等 一切 諸法·을  :아·실· 佛·이시·다 ·니·라. ○佛·은 覺·이·라 ·혼 :마리·니 覺·이 :세 가·짓 ··디 ··니 나· 自覺·이·니 性·이 眞常 · :아·시·고 惑·이 虛妄 · :아·실 ·씨·라. :둘·흔 覺他ㅣ·니 無緣慈· 뮈·워 有情世界· 濟渡·실 ·씨·라. :세· 覺行圓滿·이·니 根源·을 :다·며 미·틔 다·라 行·이 ·차 果ㅣ 두·려·실 ·씨·라. ○一切 製法性·이 無生亦無滅·니 奇哉大導師ㅣ 自覺·시·고 能覺他··시놋·다. {奇哉· 奇特·다 ·혼 :마리·라. 導· ·길 자· ·씨·니 大導師· ·크신 ·길 앗·외시· 스스··라 ·혼 :마리·라.} 知· 모··니· 對··야 니·고 覺· 어·리니· 對··야 니·니·라. ○一切 智·와 一切 種智 ·시·며 {一切 智· 모·도·아 니·고 一切 種智· 各別·히 니·니·라.} 煩惱障·과 所知障· 여·희·샤 一切 法·과 一切 種相·애 能·히 ·걔 :아·시·고 · 能·히 一切 有情·을 여·러 :알·에 ·샤·미 · ·다·가 ·· ·며 蓮ㅅ 고·지 :여· ·실· 佛·이시·다 ·니·라. ○佛·은 理· :다·며 性·을 :다·신 大覺· ··니 그 道ㅣ 뷔·여 기(·)퍼 ·녯 境界·예 微妙·히 그츠·실· · 智·로 :아·디 :몯 ·며 얼구·를 像··로 :아·디 :몯 ··리·니 萬物·의 ·논 :이·리  가·지샤· ·디 아·니 ·· ·해 :겨시·며 :말 ·며 :혬 :혜· 안·해 :겨샤· :말 :업·슨 ·해 :겨·샤 有ㅣ 아·니로· 無ㅣ 아·니 외·시·며 無ㅣ 아·니로· 有ㅣ 아·니 외·샤 寂寞·히 뷔·여 萬物·이 能·히 :아·디 :몯 ··야 일·훔 지·호· 모·· 구·틔·여 닐·오· 覺·이시·다 ·니·라. ○天上·이·며 人間·이·며 모·다 尊·히 너·기·· 世尊·이시·다 ·니·라.]
·뎌 藥師瑠璃光如來菩薩ㅅ 道理 行··실 쩌·긔 ·열:두 大願·을 ··샤 [大願·은 ·큰 願·이·라.] 믈읫 有情·이 求·논 :이· :다 得·긔 ·호·려 ··시니·라. ·뎌 藥師瑠璃光如來菩薩ㅅ 道理 行··실 쩌·긔 ·열:두 大願·을 ··샤 有情··히 求·논 :이· :다 得·긔 ·호·려 ··시니·라. 曼殊室利よ,彼の佛世尊,藥師琉璃光如來,本,菩薩の道を行ぜし時,十二の大願を發し,諸の有情をして求むる所をば皆得せしめたり.
第一大願·은 ·내 來世·예 [來世· ·오 :뉘·라.] 阿耨多羅三藐三菩提 得 時節·에 내 모·맷 光明·이 無量 無數 無邊 世界· 盛·히 비·취·여 三十二相 八十種好·로 ·모· 莊嚴··야 一切 有情·이 나·와 다·디 아·니·케 ·호리·라. 第一大願·은 ·내 來世·예 [來世· ·오 :뉘·라.] 阿耨多羅三藐三菩提 得 時節·에 내 모·맷 光明·이 無量 無數 無邊 世界· 盛·히 비·취·여 三十二相 八十種好·로 ·모· 莊嚴··야 一切 有情·이 나·와 다·디 아·니·케 ·호리·라. 第一の大願とは,願くは我れ來世に阿耨多羅三藐三菩提を得ん時,自身の光明熾然として無量無數無邊の世界を照曜し,三十二大丈夫の相,八十隨好を以つて其の身を莊嚴し,一切の有情をして我が如く異なること無からしめん.
第二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모·미 瑠璃 ···야 ·안팟·기  ·가 허·므·리 :업·고 光明·이 ·크·며 功德·이 노·파 ·븘 ·비·로 莊嚴·호·미 日月라·와 느·러 [日月·은 · ·리·라.] 어·드 · 衆生·도 :다 ·고· :어·더 조·초 :이· ·긔 ·호리·라. 第二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모·미 瑠璃 ···야 ·안팟·기  ·가 허·므·리 :업·고 光明·이 ·크·며 功德·이 놉·고 ·커 ·모·미 이·대 便安·히 住·며 ·븘 ·비·로 莊嚴·호·미 日月라·와 느·러 어·드 · 衆生·도 :다 ·고· :어·더 조·초 :이· ·긔 ·호리·라. 第二の大願とは.願くは我れ來世に菩提を得ん時,身は琉璃の如くにして內外明徹し,淨くして瑕穢無く,光明廣大に功德巍巍として,身善く安住し,焰網莊嚴すること日月よりも過ぎたり.幽冥の衆生は悉く開曉を蒙つて,意の所趣に隨つて諸の事業を作さん.
第三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無量 無邊 智慧 方便·으·로 믈읫 有情·의 · 거·시 :다 낟 ·줄 :업·긔 ·호리·라. 第三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無量 無邊 智慧 方便·으·로 有情·· 無盡 · 거·시 :다 낟 ·줄 :업·긔 ·호리·라. 第三の大願とは,願くは我れ來世に菩提を得ん時,無量無邊の智慧方便を以つて,諸の有情をして皆無盡なる所受用物を得せしめ,衆生をして乏少なる所有らしむること莫けん.
第四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有情·이 邪曲 道理 行·리 잇거·든 :다 菩提 道中·에 便安·히 잇·긔 ·며 ·다·가 聲聞 辟支佛乘· 行 :사·미 잇거·든 [聲聞 辟支佛乘· 小乘 中乘·이·라.] :다 大乘··로 便安·킈 ·호리·라. 第四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有情·이 邪曲 道理 行·리 잇거·든 :다 菩提 道中·에 便安·히 住·킈 ·며 ·다·가 聲聞 辟支佛乘· 行 :사·미 잇거·든 [聲聞 辟支佛乘· 小乘 中乘·이·라.] :다 大乘··로 便安·히 :세·요리·라. [大乘·은 菩薩ㅅ 乘·이·라.] 第四の大願とは,願くは我れ來世に菩提を得ん時,若し諸の有情の邪道を行ずる者をば悉く菩提道の中に安住せしめん.若し聲聞,獨覺乘を行ずる者をば皆大乘を以つて之れを安立せん.
第五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無量 無邊 有情·이 내 法中·에 修行·리 잇거·든 :다 이·저디·디 아·니  警戒· 得·며 三聚戒· ·게 ·호리·라. 第五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無量 無邊 有情·이 내 法中·에 ·조 :·뎍 닷··리 잇거·든 :다 이·저디·디 아·니  戒· 得·며 三聚戒· ·게 ·호리·라. 第五の大願とは,願くは我れ來世に菩提を得ん時,若し無量無邊の有情の我が法の中に於いて梵行を修行すること有らんに,一切皆不缺乘を得,三聚戒を具すること得せしめん.
[三聚戒· :세 가·지 모· 警戒·니 나· 法·을 가·졧 警戒·니 :모·딘 :이· 그·치·틸 ·씨·오 :둘·흔 :됴 :·뎌·글 가·졧 警戒·니 :됴 :이· 行 ·씨·오 :세·흔 衆生· 가·졧 警戒·니 慈悲 喜捨·로 有情·을 利樂·긔  ·씨·니 ·이 戒· 諸佛菩薩·이 修行··시논 즈 ·길히·라. 喜· 깃블 ·씨·니 衆生· ·즐겁·긔  ·씨·라. 捨· ·릴 ·씨·니 내 恩惠· ·려 衆生· 줄 ·씨·라.] [三聚戒· :세·헤 뫼·호·온 戒·니 나· 攝律儀戒·니 {攝·은 자· ·씨·오 律儀· 法·이·라. 攝律儀· 法·을 자· ·씨·라.} 殺生 아·니 ·며 도 아·니 ·며 婬亂 아·니 ·며 :두 가·짓 :말 아·니 ·며 :모·딘 :말 아·니 ·며 :거즛:말 아·니 ·며 綺語 아·니 ·며 {綺· ··며 實·에·셔 너·믄 正·티 :몯  ·씨·라. 語·는 :마리·라.} 貪嫉 欺詐 諂曲 嗔恚 邪見·을 머·리 여·흴 ·씨·라. {嫉· ·· ··여 ·씨·오 欺詐· 소·길 ·씨·오 曲· 고· ·씨·라.} :둘·흔 攝善法戒·니 八萬四千 法門·이·라. :세· 攝衆生戒·니 慈悲 喜捨·로 有情·을 利樂·긔  ·싸·라. ·이 戒· 諸佛 菩薩ㅅ 修行·시·논 즈 ·길히·라.]
비·록 그르··야 지· :이·리 이·셔·도 내 일·후·믈 드르·면 도로 淸淨·을 得··야 :모·딘 길·헤 아·니 ·러 디·게 ·호리·라. 비·록 허·러·도 내 일·후·믈 드르·면 도로 淸淨·을 得··야 :모·딘 길·헤 아·니 ·러 디·게 ·호리·라. 設ひ毁犯すること有らんも我が名を聞き已らば,還つて淸淨なることを得て惡趣に墮せじ.
第六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믈읫 有情·이 ·모·미 사·오나· 諸根·이 ·디 :몯 ··야 미·혹·고 種種 受苦 病··얫다·가 내 일·후·믈 드르·면 :다 智慧 잇·고 諸根·이 ·자 病·이 :업·게 ·호리·라. 第六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有情··히 ·모·미 사·오나· 諸根·이 ·디 :몯 ··야 迷惑·고 種種 受苦 病 ··얫다·가 내 일·후·믈 드르·면 :다 端正·고 智慧 잇·고 諸根·이 ·자 病·이 :업·게 ·호리·라. 第六の大願とは,願くは我れ來世に菩提を得ん時,若し諸の有情の其身下劣にして諸根不具․醜陋頑愚․盲聾瘖瘂․攣躄背僂․白癩癲狂,種種の病苦あらん.我が名を聞き已らば一切皆端正黠慧にして諸根完具し諸の疾苦無きことを得ん.
第七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믈읫 有情·이 病··야 이·셔 救·리 :업·고 : · :업거·든 내 일·후·믈 귀·예  번 드·러·도 病·이 :업·고 世間·애 · 거·시 ··며 無上菩提· 證·호·매 니·를·의 ·호리·라. 第七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有情··히 病··야 이·셔 救·리 :업·고 : · :업거·든 내 일·후·믈 귀·예  번 드·러·도 病·이 :다 :업·고 家屬·이·며 世間·애 · 거·시 ··며 無上菩提· 證·호·매 니·를·의 ·호리·라. 第七の大願とは,願くは我れ來世に菩提を得ん時,若し諸の有情に衆病逼切して救ひ無く歸する無く醫無く藥無く親無く家無く貧窮多苦ならんに,我が名號一たび其の耳に經れんに,衆經悉く除こり身心安樂にして,家屬資具悉く皆豊足し,乃至無上菩提を證得せん.
第八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겨지·비 :겨지·븨 ·온 가·짓 어·려 :이·리 다와·다 · 싀틋··야 :겨지·븨 ·모· ·리고·져 ·거·든 내 일·후·믈 드르·면 :다 남지·니 외·야 無上菩提· 證·호·매 니·를·의 ·호리·라. 第八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겨지·비 :겨지·븨 ·온 가·짓 어·려 :이·리 다와·다 · 싀틋··야 :겨지·븨 ·모· ·리고·져 ·거·든 내 일·후·믈 드르·면 :다 남지·니 외·야 無上菩提· 證·호·매 니·를·의 ·호리·라. 第八の大願とは,願くは我れ來世に菩提を得ん時,若し女人有つて女の百惡に逼惱せらるゝ爲めに極めて厭離を生じ女身を捨せんこと願はんに,我が名を聞き已らば一切皆女を轉じて男と成り丈夫の相を具することを得ん.乃至無上菩提を證得せん.
第九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믈읫 有情·을 魔 ·그므·레 :내·야 [魔ㅣ ·리 거·실· ·그·므리·라 ·니·라.] 一切 外道· 얽·요· 버·서 나·게 ·호리·니 ·다·가 種種 머·즌 :보·매 ··디·옛거·든 :다 引導··야 [引導· ··아 ·길 알·욀 ·씨·라.] 正 :보·매 ·두·어 漸漸 菩薩ㅅ :·뎌·글 닷·가 無上菩提· ·리 證·케 ·호리·라. 第九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有情·· 魔 ·그므·레 :내·야 一切 外道· 얽·요· 버·서 나·게 ·호리·니 ·다·가 種種 머·즌 :보·매 ··디·옛거·든 :다 · 거·두·워 正 :보·매 ·두·어 漸漸 菩薩ㅅ :·뎌·글 닷·가 無上正等菩提· ·리 證·케 ·호리·라. 第九の大願とは,願くは我れ來世に菩提を得ん時,諸の有情をして魔の羂網を出し一切の外道の纏縛を解脫せしめん.若し種種なる惡見の稠林に墮せば,皆當に引攝して正見に置き漸く諸の菩薩の行を修習せしめ速かに無上正等菩提を證せしめん.
[至極 果ㅣ 因· :걷:내· 無上·이·오 正·은 中道· 正·히 볼 ·씨·오 等·은 :두 녁 :· · 비·췰 ·씨·니 果 우·흿 三智·라. ○無上· 理·오 正等覺· 智·니 正·은 正·히 가·온··니 ·곧 一切 種智·니 寂滅 相·이·라. 等·은 平等 ·씨·니 行·이·며 相·이·며 實다· :알 ·씨·라. ·이 諸佛ㅅ 證·샨 · 노· 微妙 道理·오 衆生·의 모··논 根本·앳 微妙 根源·이·니 그·럴· 凡夫ㅣ 六道·애 흘·러 ·뇨·미 菩提心 發·티 아·니 ·혼 다·시·니 ·이제 :사· ·모· 得··야 이·셔 幸 ··들 머·거 모·로·매 佛像 알· 對·· 香 퓌·우·며 곳 비·코 ·몸·과 ·입·과 ··과 淸淨·이 ··야 供養·· 四弘誓· :셰·여 {衆生無邊誓願度 煩惱無數誓願斷 法門無盡誓願學 佛道無上誓願成 自性衆生誓願度 自性煩惱誓願斷 自性法門誓願學 自性佛道誓願成} 成佛·홀 · 發··디·니 그·럴· 菩提心·을 種子ㅣ·라 일·훔··니 一切 諸佛法·을 잘 :낼·니·라. ·이  發 :사· 모·로·매 體· 아·라· ·리·니 體 :두 가·지·니 當體· 悲心·과 智心·과 願心·괘·오 所依體· 自性·이 淸淨··야 두·려· · 微妙 ·미·라. 性·이 :제 ·· 號· 如來藏·이·라 ·고 惑·이 :더러··디 :몯 ·며 智 ·조:오·미 :업·서 :뷔·오 괴외·코 ·가 眞實ㅅ 覺·이 靈·히 ·가 萬法·을 잘 :낼· 號·  ·큰 :이리·라 ··니·라. 오·직 衆生·· ·이 性·을 오·래 :몰·라 六塵·의 그리·메 像 브·투·믈 아·라 :간 :닐·며 :간 :업·서 虛妄 念·으·로 제 · 사·마 決定··야 惑··야 色身 ·안· :삼·고 色身·이 밧·그·로 :뫼히·며 ·므리·며 虛空 大地·예 니·르·리 :다 微妙·코 · 眞實ㅅ  가·온· 거·신 · 모··니 ·이  體· 微妙··야 相 :업·서 이·슈·미 외·디 아·니 ·며 ·현·마 ··도 :업수·미 외·디 아·니 ··니·라. ○菩提· 六識··로 :아·디 :몯 · 形相·이 :업·고 生住異滅·이 :업슬· ·요·미 :업·스니·라. {生住異滅·은 ·나 住··얫다·가 달·아 :업슬 ·씨·라.} ○性·이 一萬德·을 머·굼·고 體 一百 :왼 :이·리 그·처 ·조 ··리 두·려· 이·즌 · :업수·미 ··건마· 迷惑 ·구루·믜 ·료·미 외·야 :제 :아·디 :몯 ··니 妄量惑·이 :덜·면 眞實ㅅ ·미 本來 ·조·니·라. 性·이 萬德·을 머·구믈· 聖人·에 이·셔·도 得·호·미 아·니·며 體百非 그·츨· 凡夫·에 이·셔·도 일·혼 ·디 아·니·니 그·러·나 ·이  發 :사· 慈悲心 뮈·우·로 · 사· ·디·니 ·큰 悲心 發·호· 一切 衆生· 너·비 救·호·려 ··오 ·큰 慈心 發·호· 一切 世間·  가·지·로 도··려 ·니·라. 一切 萬物·이 本來 生死ㅣ :업거·늘 妄量 ·미 부·러 受苦ㅅ 바·다·해 ··마 잇·니 ·이·제 큰 願·을 發··야 거·믄 石(壁 아)·래 盟誓·호· 「· 燈·이 외·오 生死 ·믌 ·겴 가·온· 기·리 · 외·요리·라.」 · ·디니·라. 一切 凡夫 本性·에 性 ·조· 功德·이 거·늘 ·이·제 寶藏· :몰·라 艱難·고 ·외·니 ·이제 ·큰 願·으·로 衆生· 無上佛果· :주리·라. 盟誓·호· 「 衆生·이·나 成佛 :몯 ··야 이시·면 乃終:내 涅槃 아·니 ·호리·라.」 ·라. ○「道· 至極 거·슬 닐·온 菩提·니 므·스 거·스·로 道· 사··료?」 對答·호· 「諸佛·이 ·브·터 解脫· 得··시·니 ·미 淸淨··야 일·후·미 無垢· {無垢·는 · :업슬 ·씨·라.} 五道ㅣ ·조··야 色· 受·티 아·니 ··니 ·이· :알·면 大道· 일·우리·니 ·이럴· ··로 道· :삼·니 · 自性 淸淨心·이·라. 그 體· ·고 괴외·고 그 性·은 靈·히 비·취·여 일·훔 :업스·며 相 :업스·며 有 :업스·며 無 :업·서 ··로  :몯 ·며 ·이브·로 議論 :몯 ·호· 기·려 第一義諦·라 일·니·라.」 ○무·로· 「菩提· ·모·로 得·디 :몯 ·며 ··로 得·디 :몯 ·거·늘 :엇·뎨 ··로 道· 사··뇨?」 對答·호· 「·몸·과 ·과·로 :몯 아·로· ·모· 나모 ·플 ··티 아·로·미 :업·고 · 섭섭··야 眞實·티 :몯·거니·와 그·러·나 諸佛 解脫· 衆生· 心行ㅅ 가·온· 求· ·디·니 ·므·를 求·호· 어·름 ·리·고 :몯 · ·니 ·치· ·므·리 어·렛다·가 더··면 노·가 ·므·리 외·니·라. 凡夫ㅣ  根源·을 모·· 妄念·을 좃·니 能·히 妄念·에 性 :뷘 ·  비·취·면 大道· :아·다 ·리·라.」 ○金色女ㅣ 文殊· :묻·· 「므·스·글 道ㅣ·라 ··니·고?」 對答·샤· 「:네 ·곧 道ㅣ·라.」 · 喜根·이 ·· 「婬欲·이 卽是道ㅣ·오 恚癡亦復然·니 如此三事中·에 無量諸佛道ㅣ·라.」 ·니 {婬欲·이 ·곧 ·이 道ㅣ·오 恚癡 · 그·러·니 ·이 :세 :잀 가·온· 그·지 :업·슨 諸佛ㅅ 道ㅣ·라 ·니} ·이제 :묻·· 「婬欲· :더럽·고 佛道· ·조·커시·니 :엇·뎨 :더러· :이· ·조 道ㅣ·라 ·리·고?」 對答·샤· 婬怒癡·의 · ·므렛 · ··호· ·보·아 :더·러·며 ·조· 體性·이 虛空 ··호·  아·라 順 :이· 맛·나·도 著·홈 :업스·며 거·· :일 맛·나·도 怒·티 아·니 ··야 구·즌 境界·예 解脫門· 得·야· 非道· 行·야·도 佛道·애 通達·리·니 ·이 일·후·미 無碍人·이·라.  道ㅣ 生死·애 :나미·라. ·다·가 凡夫·의 :보· 니와··면 地獄業·이 :일리·니 더· ·쇠 ···야 자··면 반··기 ·소· ·리·니 ·이 ··티 ·논 :일 :업수·미 일·후·미 道人·이·라.]
第十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有情·이 나·랏 法·에 자·피·여 ·여 ·매 마·자 獄·애 가·도·아 [獄· :사 가·도 ·히·라.] 罪 니·블 :·며 ·녀나· 그·지 :업·슨 어·려 :일·와 辱 :일·와 슬픈 :일·와 시·름다· :이·리 다와·댓거·든 내 일·후·믈 드르·면 내 福德威神力·으·로 一切 受苦· :다 버·서 나·긔 ·호리·라. 第十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有情·이 나·랏 法·에 자·피·여 ·여 ·매 마·자 獄·애 가·도·이거·나 [獄· :사 가·도 ·히·라.] 罪 니·블 :어·나 ·녀나· 그·지 :업·슨 어·려 :이·리 다와·댓거·든 내 일·후·믈 드르·면 내 福德威神力·으·로 一切 受苦 :다 버·서 나·긔 ·호리·라. 第十の大願とは,願くは我れ來世に菩提を得ん時,若し諸の有情,王法に錄せられ,縲縛鞭撻し牢獄に繫閉せられ,或は刑戮に當り及び餘の無量の災難に凌辱せられ悲愁煎迫して,身心に苦を受けんに,若し我が名を聞かば我が福德威神力を以つての故に,皆一切の憂苦を解脫することを得ん.
第十一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有情·이 주·으·려 ·밥 :얻고·져 ··야 :모·딘 罪· 지· ·예 내 일·후·믈 드·러 닛·디 아·니 ··야 디·니·면 ·내 몬져 :됴 ·차·바·로 · 브르·긔 ·고· 法味·로 乃終·에 便安·코 ·즐겁·긔 ·호리·라. [法味· 法 ·마시·라.] 第十一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有情·이 주·으·려 ·밥 :얻고·져 ··야 :모·딘 業 지· ·예 내 일·후·믈 드·러 닛·디 아·니 ··야 디·니·면 ·내 몬져 :됴 飮食··로 [飮· 마·실 ·씨·라.] · 브르·긔 ·고· 法味로 乃終·에 便安·코 ·즐겁·긔 ··야 :셰·요리·라. [法味· 法 ·마시·라.] 第十一の大願とは,願くは我れ來世に菩提を得ん時,若し諸の有情の飢渴に惱まされ食を求めんが爲の故に諸の惡行を造らんにも,我が名を聞くことを得て專念に受持せば,我れ當に先づ上妙の飮食を以つて其の身を飽足せしめ,後に法味を以つて畢竟じて安樂にして之れを建立すべし.
第十二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有情·이 ·오·시 :업·서 ·모·벌·에·며 더· ·치·로 :셜· ·다·가 내 일·후·믈 드·러 닛·디 아·니 ··야 디·니·면 제 ·맛 ·드논 :야··로 種種·앳 :됴 ·오· :어드·며 · :보··옛 莊嚴·이·며 花香 伎樂· 조·초 ·초 :얻·긔 ·호리·라 ··더시·니 第十二大願·은 ·내 來世·예 菩提 得 時節·에 ·다·가 有情·이 ·오·시 :업·서 ·모·벌·에·며 더· ·치·로 :셜· ·다·가 내 일·후·믈 드·러 닛·디 아·니 ··야 디·니·면 제 ·맛 ·드논 :야··로 種種·앳 :됴 ·오· :어드·며 · :보··옛 莊嚴·이·며 花香 伎樂· 조·초 ·초 :얻·긔 ·호리·라 ··더시·니 第十二の大願とは,願くは我れ來世に菩提を得ん時,若しも諸の有情,貧しくして衣服無く,蚊虻寒熱,晝夜逼惱せんに.若し我が名を聞き專念に受持せば,其の好む所の如く卽ち種種なる上妙の衣服を得,亦一切寶莊嚴の具,華鬘․塗香․鼓樂․衆伎を得,心の所翫に隨つて皆滿足せしめん.
文殊師利·여. ·뎌 藥師瑠璃光如來ㅅ 十二微妙 上願·이시·니·라. [上願·은 위두 願·이·라.] 文殊師利·여. ·뎌 藥師瑠璃光如來ㅅ 十二微妙 上願·이시·니·라. [上願·은 爲頭 願·이·라.] 曼殊室利よ.是れを彼の世尊,藥師琉璃光如來,應,正等覺が菩薩の道を行ぜし時,發したまひし所の十二微妙の上願と爲す.
· 文殊師利·여. ·뎌 藥師 瑠璃光如來 菩薩ㅅ 道理 行·· 時節·에 發·샨 ·큰 願·과 ·뎌 부텻 나·라·햇 功德 莊嚴·은 ·내  劫·이·며  劫·이 :남··록 닐·어·도 :몯 :다 니르·리어·니·와 · 文殊師利·여. ·뎌 藥師瑠璃光如來 菩薩ㅅ 道理 行·· 時節·에 發·샨 ·큰 願·과 ·뎌 부텻 나·라·햇 功德 莊嚴·을 ·내  劫·이·며  劫·이 :남··록 닐·어·도 :몯 :다 니르·리어·니·와 復次に曼殊室利よ.彼の世尊,藥師琉璃光如來が菩薩の道を行じたまひし時,發せし所の大願及び彼の佛土の功德莊嚴をば,我れ若しは一劫,若しは一劫の餘り說くとも盡すこと能はじ.
그·러·나 ·뎌 부텻 ··히 雜 :말 :업·시 淸淨·고 :겨지·비 :업스·며 惡趣ㅣ·며 受苦 소·리 :업·고 [惡趣·는 머·즌 ·길히·니 地獄 餓鬼 畜生·이·라.] 瑠璃 ··히 외·오 金 노··로 ·길·흘 ·느리·고 城·이·며 지·비·며 羅網·이 :다 七寶·로 이·러 이·쇼·미 · 西方 極樂世界·와 ···야 ·요·미 :업·고 그·러·나 ·뎌 부텻 ··히 雜 :말 :업·시 淸淨·고 :겨지·비 :업스·며 惡趣ㅣ·며 受苦ㅅ 소·리 :업·고 [惡趣·는 머·즌 ·길히·니 地獄 餓鬼 畜生·이·라.] 瑠璃 ··히 외·오 金 노··로 ·길·흘 ·느리·고 城·이·며 지·비·며 軒窓 羅網·이 [軒·은 軒檻·이·라.] :다 七寶·로 이·러 이·쇼·미 · 西方 極樂世界·와 ···야 功德 莊嚴·이 ·요·미 :업·고 然も彼の佛土は一向淸淨にして女人有ること無く,亦惡趣及び苦の音聲も無く,琉璃を地と爲し,金繩をもて道を界ひ,城闕宮閣·軒窓羅網,皆七寶をもて成ぜり.亦西方極樂世界の如く功德莊嚴等しくして差別無し.
그 나·라·해 :두 菩薩 摩訶薩·이 이·쇼·  일·후·믄 日光遍照ㅣ·오  일·후·믄 月光遍照ㅣ·니 ·뎌 無量 無數 菩薩衆·에 위두-··야 잇·니 그 나·라·해 :두 菩薩 摩訶薩·이 이·쇼·  일·후·믄 日光遍照ㅣ·오  일·후·믄 月光遍照ㅣ·니 ·뎌 無量 無數 菩薩衆·에 爲頭··야 이·셔 ·뎌 藥師瑠璃光如來ㅅ 正法寶藏·을 :다 디·니·니 其の國の中に於いて二りの菩薩摩訶薩有り,一りをば日光遍照と名け,二りをば月光遍照と名く.是れ彼の無量無數の菩薩衆の上首なり.悉く能く彼の世尊,藥師琉璃光如來の正法寶藏を持てり.
·이럴· 信心 ·뒷 善男子 善女人·이 [信心· 믿 ·미·라.] ·뎌 부텻 世界·예 나·고·져 發願·야· ·리·라.」 ·이럴· 信心 ·뒷 善男子 善女人·이 ·뎌 부텻 世界·예 나·고·져 發願·야· ·리·라.」 是の故に曼殊室利よ,諸の信心有る善男子善女人等は應當に彼の佛の世界に生まれんと願うべし」と.
그 · 世尊·이 · 文殊師利·려 니·샤· 그 · 世尊·이 · 文殊師利·려 니·샤· 爾の時,世尊,復,曼殊室利童子に告げて言く.
「文殊師利·여. 믈읫 衆生·이 :됴·며 구·즌 :이· 모··고 오·직 貪·며 앗가· · 머·거 布施·며 布施· 果報· :몰·라 :쳔랴· :만·히 뫼·호·아 두·고 受苦· 딕·희·여 이·셔 :빌·리 잇거·든 츠기 너·겨 :모·지 마·라 :·디라·도 제 모·맷 고·기· 바·혀 :내는 ··시 너·겨 ·며 · 貪 無量 有情·이 :쳔랴· 모·도·아 두·고 제 ··도 ·오히·려 아·니 ·거·니 ··며 어버·· :내·야 주·며 가·시·며 子息·이·며 :죠·· 주·며 ·와 :비· :사· 주·리·여? 「文殊師利·여. 衆生-··히 :됴·며 구·즌 :이· 모··고 오·직 貪·며 앗가· · 머·거 布施·홈·과 布施· 果報· :몰·라 迷惑·고 信根·이 :업서 :쳔랴· :만·히 뫼·호·아 두·고 受苦· 딕·희·여 이·셔 :빌·리 잇거·든 츠기 너·겨 :모·지 마·라 : ·디라·도 제 모·맷 고·기· 바·혀 :내논 ··시 너·겨 ·며 · 貪 無量 有情·이 :쳔랴· 모·도·아 두·고 제 ··도 ·오히·려 아·니 ·거·니 ··며 어버·· :내·야 주·며 가·시·며 子息·이·며 :죠·· 주·며 ·와 :비· :사· 주·리·여? 「曼殊室利よ,諸の有情,善惡を識らず唯貪悋を懷いて布施及び施の果報を知らず,愚癡無知にして信根を闕き,多く財寶を聚め勤めて守護を加へ,乞者の來るを見ては其の心喜ばず設ひ已むを獲ずして施しを行ふ時には身肉を割くが如く深く痛惜を生ずること有り.復,無量の慳貪なる有情有り.資材を積集して其れを自身に於いてすら尙ほ受用せず,何に況や父母․妻子․奴婢․作使及び來乞者に與へんや.
·이런 有情· 이·셔 주·그·면 餓鬼어·나 畜生·이어·나 외·리·니 ·이런 有情-· 이·셔 주·그·면 餓鬼어·나 畜生·이어·나 외·리·니 彼の諸の有情は此より命終して,餓鬼界或は傍生趣に生ぜん.
人間·애 이·셔 藥師瑠璃光如來ㅅ 일·후·믈 :잠 듣· 젼··로 惡趣·예 이·셔·도 ·뎌 如來ㅅ 일·후·믈 :잠 ··각·면 ·즉자·히 ·뎌·셔 :업·서 도로 人間·애 ·나·아 惡趣·의 受苦· 저·허 貪欲· ·즐기·디 아·니 ·고 布施· ·즐·겨 ·뒷논 거·슬 앗·기·디 아·니 ··야 머·리·며 ·누니·며 ·손·바리·며 모·맷 고·기라·도 :비· :사· 주·리어·니 ··며 ·녀나· :쳔랴··녀? 人間·애 이·셔 藥師瑠璃光如來ㅅ 일·후·믈 :잠 듣· 젼··로 惡趣·예 이·셔·도 ·뎌 如來ㅅ 일·후·믈 :잠 ··각·면 ·즉자·히 뎌·셔 :업·서 도로 人間·애 ·나 宿命念·을 得··야 惡趣·의 受苦· 저·허 貪欲· ·즐기·디 아·니 ·고 布施· ·즐·겨 ·뒷논 거·슬 앗·기·디 아·니 ··야 漸漸 머·리·며 ·누니·며 ·손·바리·며 고·기·며 ·모·미라·도 :비· :사· 주·리어·니 ··며 ·녀나· :쳔랴···녀? 昔,人間にして曾つて暫く藥師琉璃光如來の名を聞くことを得たるに由るが故に,今惡趣に在っても暫く彼の如來の名を憶念することを得ん,卽ち念ずる時に於いて彼の處より沒して還って人中に生じて宿命念を得,惡趣の苦を畏れ欲樂を樂はず,好んで惠施を行ひ施者を讚嘆して,一切の所有をば悉く貪惜すること無く,漸次に尙ほ能く頭目手足血肉身分を以って來求者に施さん.況や餘の財物をや.
· 文殊師利·여 믈읫 有情·이 비·록 如來· 道理 ·호다·가·도 尸羅· :헐·며 (尸羅· 淸淨 戒·라 ·논 :마리·라.) 尸羅· 아·니 허·러·도 軌則·을 :헐·며 (軌則·은 法·이·니 擧動· 니르·니·라.) 尸羅 軌則·을 아·니 허·러·도 正 :보· :헐·며 正 :보· 아·니 허·러·도 :해 드·로· ·려 부텨 니·샨 經·엣 기·픈 ··들 :아·디 :몯 ·며 비·록 :해 드·러·도 增上慢·며 (增·은 더을 ·씨·오 慢· · 므더·니 너·길 ·씨·니 :몯 得·혼 法·을 得·호·라 ·며 :몯 證·혼 道理· 證·호·라 ··야 :제 實·엔 사·오나·· 웃 :사 두·고 더은 : ··야 法 므더·니 너·기·며 :사 므더·니 너·길 ·씨 增上慢·이·라.) 增上慢·논 젼··로 ·미 ·리·니 그·럴· :제 ·올·호·라 ·고 ·· :외·다 ··야 正法·을 :비우· 魔·  黨·이 외·리·니 · 文殊師利·여. 有情··히 비·록 如來· 法·을 ·화·도 尸羅· :헐·며 [尸羅· 戒·라 ·논 :마리·라.] 尸羅· 아·니 허·러·도 軌則·을 :헐·며 [軌則·은 禮法·이·라.] 尸羅 軌則·을 아·니 허·러·도 正 :보· :헐·며 正 :보· 아·니 허·러·도 :해 드·로· ·려 부텨 니·샨 經·엣 거·픈 ··들 :아·디 :몯 ·며 비·록 :해 드·러·도 增上慢··야 [增·은 더을 ·씨·오 慢· · 므더·니 너·길 ·씨·니 :몯 得·혼 法·을 得·호·라 ·며 :몯 證·혼 道理· 證·호·라 ··야 :제 實·엔 사·오나·· 웃 :사두·고 더은 : ··야 法 므더·니 너·기·며 :사 므더·니 너·길 ·씨 增上慢·이·라.] 增上慢·이 · ·리·온 젼··로 :제 ·올·호·라 ·고 ·· :외·다 ··야 正法·을 :비우· 魔·  黨·이 외·리·니 復次に曼殊室利よ.若し諸の有情,如來に於いて諸の學處を受くと雖も尸羅を破らん.尸羅を破らずと雖も軌則を破ること有らん.尸羅軌則に於いて壞らざることを得ると雖も然も正見を毁ること有らん.正見を毁らずと雖も多聞を棄て佛の所說の契經の深義に於いて解了すること能はざること有らん.多聞と雖も增上慢なること有って,增上慢にて心を覆蔽するに由るが故に,自らを是とし他を非とす.正法を嫌謗して魔の伴黨とならん.
·이런 어·린 :사· :제 邪曲 :보· ·고 · 無量有情·이 ·큰 어·려 구·데 ·러디·긔 ··니 ·이런 有情··히 地獄 餓鬼 畜生·애 그·지 :업·시 두루 ·니다·가 ·이 藥師 瑠璃光如來ㅅ 일·후·믈 듣··면 :모·딘 :·뎌·글 ·리·고 :됴 法·을 닷·가 惡趣·예 아·니 디·리·니 비·록 :모·딘 :·뎍 ·리·고 :됴 法 닷·고· :몯 ··야 惡趣·예 ·러디·고·도 ·이런 :사· :제 邪曲 :보· ·고 · 無量 有情·이 ·큰 어·려 구·데 ·러디·긔 ··니 ·이런 有情··히 地獄 餓鬼 畜生·애 그·지 :업·시 두루 ·니다·가 ·이 藥師瑠璃光如來ㅅ 일·후·믈 듣··면 :모·딘 :·뎌·글 ·리·고 :됴 法·을 닷·가 惡趣·예 아·니 디·리·니 비·록 :모·딘 :·뎍 ·리·고 :됴 法 닷·고· :몯 ··야 惡趣·예 ·러디·고 是の如く愚人は自ら邪見を行じ,復,無量俱胝の有情をして大險坑に墮せしめん.此の諸の有情は應に地獄․傍生․鬼趣に於いて流轉窮り無かるべし.若し此の藥師琉璃光如來の名號を聞くことを得ば,便ち惡行を捨て諸の善法を修して惡趣に墮ちじ.設し諸の惡行を捨て善法を修行すること能はずして惡趣に墮する者有るとも,
·뎌 如來ㅅ 本願威力·으·로 알· :뵈·샤 일·후·믈 :간 들·이시·면 ·뎌·셔 주·거 도로 人間·애 ·나·아 出家··야 正한 :보· :허·디 아·니 ·며 :해 드·러 기·픈 ··들 :알·며 增上慢· 여·희·여 正法·을 :비:웃·디 아·니 ··야 魔· :버·디 아·니 외·야 漸漸 修行··야 圓滿· ·리 得·리·라. ·뎌 如來ㅅ 本願 威力·으·로 알· :뵈·샤 일·후·믈 :간 들·이시·면 뎌·셔 주·거 도로 人間·애 ·나 正·히 ·보 精進· 得··야 이·든 ·드·로 出家··야 正 :봄·과 :해 드·로· :허·디 아·니 ··야 甚·히 기·픈 ·들 :알·며 增上慢· 여·희·여 正法·을 :비:웃·디 아·니 ··야 魔· :버·디 아·니 외·야 漸漸 菩薩ㅅ 行· 닷·가 圓滿· ·□ 得·리·라. 彼の如來の本願の威力を以って,其れをして現前に暫く名號を聞かしめ.彼より命終して還って人趣に生まれて,正見精進を得,善く意樂を調へ,便ち能く家を捨てゝ非家に趣き如來の法の中にして學處を受持し毁犯有ること無く,正見多聞にして甚深の義を解り,增上慢を離れ正法を謗らず魔の伴と爲らず,漸次に諸の菩薩の行を修行して速かに圓滿することを得せしめん.
· 文殊師利·여 믈읫 有情·이 貪·고 새·옴 ·라 제 ·모· 기·리·고 ·· 허·러 三惡趣·예 ·러 ·디·여 無量 千歲· 受苦·다·가 뎌·셔 주·거 人間·애 나·고·도 ·쇼i어·나 ·리어·나 :약·대어·나 라·귀어·나 외·야 長常·채 맛·고 주·으륨·과 목 ·로·로 受苦·며 · 長常 ·므거· 거·슬 ·지·여 ·길·흘 조·차 ·니다·가 시·혹 :사·미 외·오·도 가· · :죠· 외·야 · ·브룐 :일 ·녀 ·녜 自得·디 :몯 ·리·니 · 文殊師利·여. 有情··히 貪·고 새·옴 ·라 제 ·모· 기·리·고 ·· 허·러 三惡趣·예 ·러·디·여 無量 千歲· · 受苦·다·가 뎌·셔 주·거 人間·애 나·고·도 ·쇼ㅣ어·나 ·리어·나 ·약□어·나 라·귀어·나 외·야 長常 ·채 맛·고 주·으륨·과 목 ·로·로 受苦·며 · 長常 ·므거· 거·슬 ·지·여 ·길·흘 조·차 ·니다·가 시·혹 :사·미 외·오·도 가· · :죠· 외·야 · ·브룐 :일 ·녀 ·녜 自得·디 :몯 ·리·니 復次に曼殊室利よ.若し諸の有情,慳貪嫉妬にして自讚毁他して,當に三惡趣の中に墮して無量千歲,諸の劇苦を受け,劇苦を受け已って,彼より命終して人間に來生せんに,牛馬駝驢と作り恒に鞭撻せられて飢渴に逼惱し,叉常に重きを負ふて路に隨って行き,或は人と爲ることを得ては下賤に生居し,人の奴婢と作って他の驅役を受け,恒に自在ならず,
·다·가 :아·래 人間·애 이 저·긔 藥師 瑠璃光如來ㅅ 일·후·믈 듣·단·디·면 ·이 다··로 ·이제 ·와 · ··각··야 ·고· ··로 歸依·면 부텻 神力·으·로 한 受苦ㅣ :다 :업·고 諸根·이 聰明·코 ·카· 智慧·며 :해 드·러 長常 :됴 法·을 求··야 ·어·딘 :버·들 맛·나·아 魔 ·그므·를 그·츠·며 無明·을 :헐·며 煩惱ㅣ 다·아 一切 生老病死 憂悲苦惱· 버·서 나·리·라. ·다·가 :아·래 人間·애 이 저·긔 藥□瑠璃光如來ㅅ 일·후·□ 듣·단·디·면 ·이 :됴 因緣·으·로 ·이제 ·와 · ··각··야 ·고·  ·로 歸依·면 부텻 神力□□□ 受苦· 버·서 諸根·이 聰□·코 ·카· 智慧·며 :해 드□ 長常 :됴 法·을 求··야 ·어딘 :버·들 맛·나·아 魔 ·그므·를 기·리 그츠·며 無明·을 :헐·며 煩惱ㅣ 다·아 一切 生老病死 憂悲苦惱· 버·서 나·리·라. 若し昔,人中にして曾つて世尊藥師琉璃光如來の名號を聞きなば,此の善因に由って今復,憶念して至心に歸依すれば佛の神力を以って,衆苦より解脫し,諸根聰利に智慧多聞あって恒に勝法を求め,恒に善友に遇ひ,永く魔羂を斷ち,無明の[殼]を破し,煩惱の河を竭し,一切の生老病死憂愁苦惱を解脫せん.
· 文殊師利·여 믈읫 有情·이 ··과 ·닫:나· ·즐·겨 서르 싸·화 저·와 ··과· ·어즈·려 種種·앳 :모·딘 罪業·을 길·워 ·녜 有益·디 아·니  :이· ·고 서르 害· ·· ··야 :뫼히·며 수·프리·며 즘·게·며 무·더·멧 神靈·을 請·고  주·겨 夜叉羅刹 等·을 이바··며 믜 :사· 일·훔 ·쓰·며 얼구·를 ··라 :모·딘 呪術·로 :빌·며 귓것 ·브·려 · 文殊師利·여. 有情··히 ··과 ·닫:나· ·즐·겨 서르 싸·화 저·와 ··과· ·어즈·려 種種·앳 :모·딘 業·을 길·어 ·녜 饒益·디 아·니  :이· ·고 서르 害□ ·· ··야 :뫼히·며 수·프리·며 즘·게·며 무·□·멧 神靈··게 니·고  주·겨 夜叉 羅刹 等·을 이바··며 믜 :사· 일·훔 ·쓰·며 얼구·를 ··라 :모·딘 呪術·로 비·러 厭魅蠱道·며 起屍鬼· 呪··야 復次に曼殊室利よ.若し諸の有情,好憙で乖離し,更に相ひ鬪訟して自他を惱亂し,身語意を以って種種の惡行を造作し增長し,展轉して常に不饒益の事を爲し,互に相ひ謀害し,山林樹塚等の神に告召して,諸の衆生を殺し其の血肉を取って藥叉,羅刹婆等を祭祀し,怨人の名を書き,其の形像を作り惡呪術を以って之れを呪咀し,魘魅し蟲道し屍鬼を呪起して,
[厭魅· ·오 누·르 鬼神·이·니 鳩槃茶ㅣ·라. 蠱道· ·:쏘·배 벌·에 잇·게  ·씨·라. 起屍鬼· 주·검 니르왇 귓거·시·라. ○□ 저·근 부:톄 冥寧國 白土邑·에 :겨·시더·니 그제 尼乾子 일·훔 究羅帝·라 ·호·리 白土·애 잇·더·니 :사·미 恭敬··야 일·후·미 머·리 들·여 利養· :만·히 :얻더·니 그제 부:톄 ·옷 니브·시·고 바리 가·지·샤 城·의 ·드·러 乞食··더시·니 善宿比丘ㅣ 부텻 :뒤·헤 조· 가더·니 究羅帝尼乾子ㅣ  무·딧 우·희 ·겨·를 구·버 할커늘 보·고 善宿比丘ㅣ 너□□ □間·애 阿羅漢··히 □□漢道 向 :사·미 이 미·츠·리 □스·니 ·이 尼乾子ㅣ 道理 · 爲頭·도·다. :엇·뎨어·뇨 ·란· ·이 :사·미 苦行·호· 能히 ·이·리 ··야 憍慢  ·려  무·딧 우·희 ·겨·를 구·버 할·놋·다 ·거·늘 그제 부:톄 ·올 녀·그·로 :도·샤 善宿·려 니·샤· 「네 ··디 어·린 :사·미 :엇·뎨 :네 釋子ㅣ로·라 ··다?」 {부:톄 니·샤· 四大河水 바··래 ·든 後·에 외·야 本來ㅅ 일·후·미 :업·서 가·지·로 일·후·미 바·리·니 :네 가·짓 姓 刹利 婆羅門 長者 居士種·이 如來ㅅ거·긔 머·리 갓·가 :세 가·짓 法衣 니·버 出家··야 道理 ·호·면 외·야 本來ㅅ 姓·이 :업·서 오·직 沙門 釋迦子ㅣ·라 ··니 그·러·혼 ·고· 如來衆·은 大海 ··고 四諦· 四大河ㅣ ··니 結使· 더·러·려 저·품 :업·슨 涅槃城·에 ·드·니·라. ○부:톄 니·샤· 彌勒·이 世間·애 나·면 比丘弟子··히 :다 慈子ㅣ·라 ·리·니 내 ·이젯 弟子ㅣ 釋子ㅣ·라 ·호·미 ··니·라.} 善宿ㅣ 부텻·긔 ·· 「世尊□. :엇·던 젼··로 :나· 어·리·다 ··샤 釋子ㅣ로·라 ·호· :몯 ·리·라 ··시·니·고?」 부:톄 니·샤· 「:네 어·린 :사·미 ·이 究羅帝  무·딧 우·희 줏그·려·셔 ·겨·를 구·버 먹거·늘 보·고 :네 너·교· 世間 阿羅漢·과 阿羅漢 向 :사··해 ·이 究羅帝 · 尊上·니 :엇·뎨어·뇨 ·란· ·이 究羅帝 能·히 苦行··야 憍慢·을 ·려  무·딧 우·희 줏그·려·셔 ·겨·를 구·버 할·놋·다. :네 ·이 念·을 ·뒷던·다? 아·니 ·뒷던·다?」 對答··· 「實·로 ·뒷·다·다.」 善宿ㅣ · ·· 「:엇·뎨 世尊·이 阿羅漢·의거·긔 새·옴 · :내·시·니·고?」 부:톄 니·샤· 「어·린 :사·마. ·내 :엇·뎨 阿羅漢·게 새·옴 · :내리·오? :네 ·이제 어·린 :사·미 究羅帝· 너·교· 眞實ㅅ 阿羅漢·이·라 ··건마· ·이 :사·미 後ㅅ 닐·웨·예 ·부·러 命終··야 起屍餓鬼 中·에 ·나 ·녜 주·으료· :셜· ·리·니 命終 後·에 ···로 ·야 무· ·서리·예 긋·어다·가 두·리·라. 너·옷 信·티 아·니커·든 몬져 ·가 니르·라.」 그제 善宿ㅣ ·즉재 究羅帝·의게 ·가 닐·오· 「·뎌 沙門 瞿曇·이 너·를 닐·오· 「·이 後ㅅ 닐·웨·예 다 ·부·러 命終··야 起屍餓鬼 中·에 나·리·니 죽거·든 ···로 ·야 무· ·서리·예 긋·어다·가 두·리·라.」 ·더·라.」 善宿ㅣ · 닐·오· 「:네 모·로·매 ·밥 조·리 머·거 ·뎌 :말·미 ·올·티 아·니·케 ·라.」 究羅帝 닐·웨 ·거·늘 ·부·러 주·거 ·즉재 起屍餓鬼 中·에 ·나거·늘 주·거·믈 ···로 ·야 무· ·서리·예 긋·어다·가 두·니·라. 그제 善宿ㅣ ·손 고·펴 ·날 :혜·여 닐·웨·예 다·라 ·즉재 裸形村 中·에 ·가 {裸· ·옷 바· ·씨·오 形·은 얼구·리·오 村· ·히·니 外道ㅣ ·옷 밧·고 붓·그륨 :업스·니 外道 :사· ·힐· 裸形村·이·라 ·니·라.} 그  :사·려 무·로· 「究羅帝 ·이제 어·듸 잇·뇨?」 對答·호· 「·쎠 命終·니·라.」 무·로· 「므·슴 病·으·로 命終·뇨?」 對答·호· 「·부·르니·라.」 ·무·로· 「:엇·뎨 送葬·뇨?」 對答·호· 「···로 ·야 무· ·서리·예 긋·어다·가 두·니·라.」 善宿ㅣ ·즉재 무· ·서리·예 ·가 ·마 다 저·긔 ·뎌 주·거·미 무루·피·며 ·바리·며 :다 놀·여 믄·득 줏그·리 거·늘 善宿ㅣ 나··가 닐·오· 「究羅帝·여. :네 命終·다?」 주·거·미 닐·오· 「·내 ·마 命終·호·라.」 무·로· 「므·슴 病·으·로 命終·다?」 주·거·미 닐·오· 「瞿曇·이 :나· 닐·오· 「닐·웨 後·에 ·부·러 命終·리·라.」 ·더·니 ·내 그 :□·티 닐웨 ·거·늘 ·부·러 命終·호·라.」 善宿ㅣ · 무·로· 「:네 어·느 고·대 난·다?」 주·거·미 닐·오· 「·뎌 瞿曇·의 닐·오·매 「起屍餓鬼 中·에 나·리·라.」 ·더·니 ·내 오· 起屍餓鬼 中·에 ·냇노·라.」 善宿ㅣ 무·로· 「:네 命終 제 :엇·뎨 送葬·더·뇨?」 對答·호· 瞿曇· 닐·오·매 「···로 ·야 무· ·서리·예 긋·어다·가 두·리·라.」 ·더·니 眞實·로 ·뎌 :말·티 ···로 ·야 무· ·서리·예 긋·어다·가 두·니·라.」 그제 주·거·미 善宿·려 닐·오· 「:네 비·록 出家·야·도 善利· 得·디 :몯 ··니 瞿曇 沙門·이 ·이런 :이· 니거·늘 :네 ·녜 信·티 아·니 ··니·라.」 ·고 주·거·미 도로 누·니·라. 그제 善宿 比丘ㅣ 부텻·긔 ·와 머·리 조· 禮數··고  面·에 ·고 ·이 :이· 아·니 :거·늘 부·톄 니·샤· 「·내 니·던 究羅帝 眞實·로 그·러터·녀? 아·니터·녀?」 對答··· 「實·로 世尊 :말 ··더·다. 」
·뎌·의 목:수·믈 긋·긔 ·거·든 ·뎌·의 목:수·믈 긋·긔 ·거·든 彼の命を斷ち及び其の身を壞らしめん.
:아뫼·나 ·이 藥師瑠璃光如來ㅅ 일·후·믈 듣··면 ·뎌런 :모·딘 :이·리 害·디 :몯 ·며 서르 慈悲心· :내·야 믜 ·미 :업·고 各各 깃·거 서르 有益·긔 ·리·라. ·이 有情··히 藥師瑠璃光如來ㅅ 일·후·믈 듣··면 ·뎌 :모·딘 :이·리 :다 害·티 :몯 ·며 서르 慈心· :내·야 믜 ·미 :업·고 各各 깃·거 서르 饒益·긔 ·리·라. 是の諸の有情,若し此の藥師琉璃光如來の名號を聞くことを得ば,彼の諸の惡事悉く害すること能はず,一切展轉して皆慈心を起し利益し安樂して損惱の意及び嫌恨の心無く,各各歎悅して自の所受に於いて,喜足を生じ相ひ侵凌せず,互に饒益を爲さん.
· 文殊師利·여. ·다·가 比丘 比丘尼 優婆塞 優婆夷·며 ·녀나· 淨信 善男子 善女人·이 [淨·은 ·조 ·씨·라. 信· 미·들 ·씨·니 法·을 믿 :사·미·라.] 八分齊戒· 디·녀 [八分·은 여·듧 가·지·니 齋·옛 :이·리 여·듧 가·질· 八分齋·라 ·니 우·흿 八戒齋·라. 八分齋· 八支齋·라·도 ··니 支· 서르 잡드·러 괴·올 ·씨·니 :모· 서르 :업·디 :몯 ··야 ·힘 저· ·디·라. 齋·라 ·혼 거·시 ·낫 :계어·든 ·밥 아·니 머·구·미 읏드·미·오 여·듧 가·짓 :일·로 도· 일·울· 八支齋·라 ··니·라.] · :디·나거·나 :석··만 ·거·나 ··야 ·이 :됴 根源·으·로 西方 極樂世界·예 나·고·져 發願·호· 一定 :몯 ··야 이·셔 ·이 藥師瑠璃光如來ㅅ 일·후·믈 듣··면 命終 쩌·긔 여·듧 菩薩·이 ·와 [여·듧 菩薩· 文殊師利菩薩·와 觀世音菩薩·와 得大勢菩薩·와 無盡意菩薩·와 寶檀華菩薩·와 藥王菩薩·와 藥上菩薩·와 彌勒菩薩·왜시·니·라.] ·길·흘 ·쳐 ·즉자·히 ·뎌 나·랏 種種 雜色衆寶花 中·에 自然·히 化··야 나·며 ·일·로브·터 天上·애 나·리·도 이시·리·니 復次に曼殊室利よ.若し四衆の苾芻․苾芻尼․鄔波索迦․鄔波斯迦及び餘の淨信の善男子․善女人等有って,能く八分齋戒を受持すること,或は一年を經,或は復三月,學處を受持すること有らん.此の善根を以って西方極樂世界無量壽佛の所に生じて正法を聽聞せんことを願って而も未だ定らざる者,若し世尊藥師琉璃光如來の名號を聞かば,命終の時に臨んで,八大菩薩有り,其の名を文殊師利菩薩․觀世音菩薩․得大勢菩薩․無盡意菩薩․寶檀華菩薩․藥王菩薩․藥上菩薩․彌勒菩薩と曰ふ.八大菩薩は空に乘じて來って其の道路を示し,卽ち彼の界,種種の雜色,衆寶華の中に於いて自然に化生せん.或は此れに因って天上に生ずること有らん.
비·록 하··해 나·고·도 本來 :됴· 根源·이 다·디 아·니 · ·녀나· 惡趣·예 다·시 나·디 아·니 ··야 하· 목:수·미 다·면 도로 人間·애 ·나·아 輪王·이 외·야 四天下· 거·느·려 威嚴·과 德·괘 自在··야 無量 百千有情·을 十善·으·로 便安·킈 ·리·도 이시·며 [十善·은 十惡· 아·니  ·씨·라.] 刹帝利 婆羅門 居士· ·큰 지·븨 ·나·아 [刹帝利· 田地 :님·자히·라 ·논 :마리·니 王ㄱ 姓·이·라. 劫 ·처·믜 :사·미 · ·마· 먹다·가 漸漸 粳米 머·근 後·에 :사· ··디 漸漸 :거츠·러 제여·곰 바· ·홀· 有德· :사· :셰·여 받 ·호기· 決·게 ·니 ·이 王 始作·이·라. 그·럴· 서르 니· 姓·이 외·니·라.] :쳔랴· 有餘·고 倉庫ㅣ 기 :넘·고 [倉· 갈· ·씨·니 :나· 갈· ·씨·라. 庫· :쳔 ·초·아 ·뒷 지·비·라.] · 端正·고 眷屬·이 ··며 聰明·며 智慧·며 勇猛·코 :게·여·미 ·큰 力士 ··니·도 이시·며 :겨지·비라·도 ·이 藥師如來ㅅ 일·후·믈 듣· ·고· ··로 디□□□□□□□□ ·모·미 아·니 외·리·라.」 天中に生ずと雖も而も本の善根亦未だ窮盡せず,復更に諸餘の惡趣に生ぜず.天上の壽盡きて還人間に生れ,或は輪王と爲って四洲を統攝し威德自在にして,無量百千の有情を十善道に安立し,或は刹帝利․婆羅門․居士大家に生じ,多く饒かなる財寶倉庫に盈溢し,形相端嚴にして眷屬具足し,聰明にして智慧あり,勇健にして威猛あり,大力士の如くならん.若し是の女人,世尊,藥師琉璃光如來の名號を聞くことを得て,至心に受持せば,後に於いて復更に女身を受けじ」と.
그 · 文殊師利 부텻·긔 :·샤· 爾の時,曼殊室利童子,佛に白して言さく.
「·내 盟誓· ·노·니 像法 轉 時節·에 種種 方便·으·로 淨信 善男子 善女人··히 ·이 藥師瑠璃光如來ㅅ 일·후·믈 듣:·긔 ·며  저·기라도 ·이 부텻 일·후므·로 들·여 ··긔 ·호·리·다. 世尊·하. :아뫼·나 ·이 經·을 디·녀 닐·거 외·오·며 ··려 불·어 닐·어 여·러 :뵈어·나 :제 ·쓰거·나 · :·여 ·쓰거·나 ·고 恭敬·며 尊重·히 너·겨 種種 花香·과 瓔珞·과 幡·과 蓋·와 류·로 供養·고 五色 ·채 녀·허 ·조 ·· ··오 노· 座 ··오 便安·히 연·면 그 · 四天王·이 眷屬·과 無量百千天衆 ·리·고 :다 그 고·대 ·가 供養·며 디·킈·리·다. 世尊·하. ·이 經 流行 ··해 [流·는 ·믈 흐를 ·씨·오 行· 녈 ·씨·니 法·이 ·펴 ·디·여 :가·미 ·믈 흘·러 :녀·미 ·· 流行·이·라 ·니·라.] ·뎌 藥師瑠璃光如來ㅅ 本願功德·을 디·니·며 일·후·믈 듣··면 다 ·이 ·해 橫死· ·주·리 :업스·며 [橫· 빗·글 ·씨·니 橫死· 제 命 아·닌 :일·로 주·글 ·씨·라.] · :모·딘 귓것··히 精氣· :몯 아·리·니 [精氣· 넉·시·라 · ·디·라.] 비·록 아··도 도로 :녜 ···야 ·미 便安·리·다.」 「世尊,我れ當に誓って佛法轉時に於いて種種の方便を以って,諸の淨信の善男子,善女人等をして世尊藥師琉璃光如來の名號を聞くことを得せしめ,乃至睡中にも亦,佛の名を以って其の耳を覺悟せしむべし.世尊よ,若し此の經に於いて受持し讀誦し,或は復他の爲めに演說し開示し,若しは自らも書し若しは他を敎て書かしめ,恭敬尊重し種種の花香․塗香․末香․燒香․花鬘․瓔珞․幡蓋․伎樂を以って供養を爲し,五色の綵を以って囊を作りて之れを盛れ,淨處を掃灑して高座を敷設して用つて安處せば,爾の時,四大天王は其の眷屬及び餘の無量百千の天衆と,皆其の所に詣り供養し守護すれば,世尊よ,若し此の經寶流行の處,能く受持すること有らば,彼の世尊藥師琉璃光如來の本願功德及び名號を聞くを以って,當に知るべし是の處,復,橫死無く,亦復諸の惡鬼神に其の精氣を奪れじ.設ひ已に奪はるゝ者も還故の如く身心安樂なることを得せしめん」と.
부:톄 니·샤· 「·올타. ·올타. 네 :말 ··니·라. 文殊師利·여. ·다·가 淨信 善男子 善女人·이 ·뎌 藥師瑠璃光如來· 供養·코·져 ·거·든 몬져 ·뎌 부텻 像· ··라 ·조 座·애 便安·히 노:·고 種種ㄱ 곳 비·코 種種ㄱ 香 퓌·우·고 種種ㄱ 幢幡·으·로 그 ·· 莊嚴·고 ·밤 ·낫 닐·웨· 八分齋戒· 디·녀 ·조 ·밥 먹·고 沐浴 ··마 香 ·고 ·조 ·옷 닙·고 · :업·슨 ·과 瞋心 :업·슨 · :내·야 一切 有情·에 利益·며 安樂·며 [安樂· 便安·코 ·즐·거 ·씨·라.] 慈悲 喜捨·며 平等 · 니르와·다 류·와 놀·애·로 讚嘆·· 佛像 ·올 녀·그·로 :도·고 ·뎌 如來ㅅ 本願功德·을 · 念··야 ·이 經·을 닐·거 외·오·며 그 ··들 ··야 불·어 닐·어 여·러 :뵈·면 一切 願·이 :다 이·러 長壽·를 求·면 [長壽·는 목:수·미 :길 ·씨·라.] 長壽·를 得·고 가··며로· 求·면 가··며로· 得·고 벼·스·를 求·면 벼·스·를 得·고 아· ·· 求·면 아· ·· 得·리·라. 佛,曼殊室利に告げたまはく.「是くの如し,是くの如し,汝が說く所の如し.曼殊室利よ,若し淨信の善男子,善女人等有って,彼の世尊藥師琉璃光如來を供養せんと欲せば,應に先づ彼の佛の形像を造立し淸淨の座を敷き之れを安處すべし.種種の花を散じ種種の香を燒き,種種の幢幡を以って其の處を莊嚴し,七日七夜,八分齋戒を受持し,淸淨の食を食し,澡浴香潔し,新淨の衣を著して應に無垢濁心,無怒害心を生じて一切有情に於いて利益安樂․恚悲喜捨․平等の心を起すべし.鼓樂歌讚して佛像を右に遶ぐり,復,應に彼の如來の本願功德を念じて此の經を讀誦し,其の義を思惟し演說し開示すべし.樂求する所に隨って一切皆遂げん.長壽を求むれば長壽を得,富饒を求むれば富饒を得,官位を求むれば官位を得,男女を求むれば男女を得ん.